목돈을 모으려 계획 중이라면, 자유적금통장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일반 정기적금과 달리 자유적금은 원하는 금액을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어 소득이 일정하지 않은 분들에게 특히 유용합니다. 하지만 은행마다 제공하는 금리가 다르고, 우대금리 조건도 다양하기 때문에 어떤 상품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최종 이자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3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자유적금 상품을 은행상품별로 비교였으니, 상황에 맞는 최적의 상품을 가입해 보시길 바랍니다.
목차
1. 2025 은행별 자유적금 이자율 비교
아래 표는 2025년 3월 24일 현재, 주요 은행들의 자유적금통장 최고 우대금리 기준 이자율입니다.
(단, 우대금리는 조건 충족 시 적용, 상세내용 은행 홈페이지 참고)
은행명 | 상품명 | 기본금리 | 최고금리 (우대조건 포함) |
가입기간 |
국민은행 | KB 스타적금III | 3.00% | 6.00% | 12개월 |
신한은행 | 신한알.쏠적금 | 2.80% | 4.10% | 12~36개월 |
우리은행 | WON적금 | 3.40% | 3.60% | 12개월 |
하나은행 | 급여하나 월복리적금 | 3.20% | 5.50% | 12~36개월 |
농협은행 | NH올원e적금 | 3.35% | 3.85% | 12개월 |
카카오뱅크 | 자유적금 | 3.10% | 3.60% | 12~36개월 |
케이뱅크 | 주거래우대 자유적금 | 3.50% | 4.50% | 6~36개월 |
토스뱅크 | 자유적금 | 2.8% | 3.3% | 3~36개월 |
※ 은행별 우대금리는 급여이체, 체크카드 실적, 자동이체 등록 등의 조건 충족 시 적용됩니다.
※ 은행별 가입 금액 및 적립금액한도는 상이하오니 공식홈페이지에서 확인 바랍니다.
※ 이자율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가입 전 은행 공식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하세요.
2. 추천 자유적금통장 BEST 3
현재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을 포함하여 이자율 및 가임금액 고려하여 추천할 만한 자유적금통장 3가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1) 케이뱅크 코드K 자유적금 (최고금리 4.50%)
- 기본금리: 3.50%
- 최고금리: 4.10% (우대조건 충족 시)
- 가입대상: 17세 이상 개인
- 우대금리 조건: 급여이체, 체크카드 실적 등
- 추천 이유: 기본 이율 금리가 가장 높은 상품이며, 케이뱅크 계좌를 이미 사용 중이라면 우대금리를 받기가 상대적으로 쉽고, 월1천원이상 한도 300만원 이하 납입으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합니다.
2) 신한은행 알.쏠 적금(최고금리 4.10%)
- 기본금리: 2.80%
- 최고금리: 4.10% (우대조건 충족 시)
- 가입대상: 개인
- 우대금리 조건: 소득이체 등록 및 카드이용등 (상세내용 홈페이지 참고)
- 추천 이유: 다른 은행 가입금액한도 30만원인 경우가 많은데 이 상품의 경우 한도 300만원으로 납입금액의 폭이 넓고, 기본이율도 높은편 입니다.
3) 급여하나 월복리적금 (최고금리 5.50%)
- 기본금리: 3.20%
- 최고금리: 5.50% (우대조건 충족 시)
- 가입대상: 개인
- 우대금리 조건: 급여이체 및 온라인 재예치 /특별금리: 가입일기준 35세 이하 청년 연1.3% 우대금리
- 추천 이유: 급여 은행이 하나은행이라면 추천드리는 월 복리 상품으로, 만 35세 이하 청년이라면 1.3% 추가 특별우대금리 받을 수 있습니다.
3. 자유적금통장 가입시 고려사항
자유적금통장은 이자율뿐만 아니라 가입조건, 중도해지 시 불이익, 우대금리 조건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가입해야 합니다.
- 금리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 가입 전 확인 필수
- 우대금리 조건 충족 가능 여부 확인
- 급여이체, 카드 사용 등의 실적 요구 사항 검토
- 중도 해지 시 이자율 낮아질 가능성 고려
4. 어떤 자유적금을 선택해야 할까?
자유적금통장은 정해진 금액을 매달 납입해야 하는 정기적금과 달리, 가입자가 원하는 만큼 자유롭게 입금할 수 있는 적금 상품입니다. 일정 기간 동안 예금자 보호를 받으면서 이자를 받을 수 있어 소득이 일정하지 않은 프리랜서, 자영업자, 학생, 주부 등 다양한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금리가 높아도 우대금리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실제로 받을 수 있는 금리는 낮아질 수 있습니다.
- 본인의 소득 패턴
- 매월 저축 가능 금액
- 급여이체, 카드 사용 등 우대금리 조건 충족 여부
이 세 가지를 고려하여 나에게 맞는 최적의 자유적금통장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제 본인의 금융 습관에 맞는 상품을 골라, 효과적으로 목돈을 모아보시길 바랍니다.
*** (주의) 이자율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가입 전 반드시 은행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아이 적금 통장 추천 (은행별 금리 비교) (0) | 2025.04.02 |
---|---|
2025 서울 주요 벚꽃 축제 일정 (봄 데이트 코스, 여의도, 석촌호수, 서울대공원 벚꽃축제) (0) | 2025.04.01 |
청년문화예술패스 신청 및 사용방법 총정리(공연 및 전시 무료관람) (0) | 2025.03.27 |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 신청 방법 및 조건 총정리 (0) | 2025.03.26 |
출산 준비 리스트: 필수 육아용품 및 추천제품 총정리 (0) | 2025.03.20 |
2025 출산축하선물 추천: 실용적이고 센스있는 선물추천 (0) | 2025.03.18 |
2025 고용보험 미적용자 프리랜서 출산지원금 신청 (0) | 2025.03.14 |
2025 경기도 출산 지원금 혜택 정리 및 신청방법 (0) | 2025.03.13 |